“월급은 통장을 스치고 간다”는 말을 바꾸는 첫걸음
✅ 도입: 월급날이 기다려지지 않는 이유
첫 직장을 얻고 매달 월급이 들어와도 통장에 남는 돈이 없습니다.
'도대체 왜 모이지?'라는 의문이 들 때, 돈의 흐름을 구조화하지 않은 상태로 소비만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사회 초년생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재테크는 '투자'가 아니라 월급 관리 시스템 구축입니다.
✅ 본문: 월급 관리의 핵심 3단계
1. 통장 쪼개기 – 돈에 이름 붙이기
월급을 받는 즉시 목적에 따라 돈을 분리해놓아야 합니다.
이걸 자동화하면 '의지력'에 의존하지 않아도 돼요.
통장목적예시 비율 (세후 250만원 기준)
급여 통장 | 월급 수령 전용 | 100% 수령 후 자동 분배 |
소비 통장 | 한 달 생활비 | 약 50% (125만원) |
저축 통장 | 종잣돈/목표자금 | 약 30% (75만원) |
비상금 통장 | 긴급상황 대비 | 약 10% (25만원) |
투자 통장 | 주식, 펀드 등 | 약 10% (25만원) |
👉 포인트: 급여일 다음 날, 자동이체 설정으로 각 통장으로 분배하면 돈 관리가 습관이 됩니다.
2. 지출 구조 파악 – 새는 돈을 찾아라
가장 흔한 돈 누수는 카드값과 구독 서비스입니다.
-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 사용으로 통제력 향상
- 자동 결제 항목 리스트업 후 불필요한 구독 해지
- 가계부 앱(예: 뱅크샐러드, 토스 가계부) 활용
3. 월별 목표 설정 – 작은 성공을 반복하라
- ‘이번 달은 10만 원 남기기’처럼 작은 목표부터 시작
- 소비 내역 피드백 → 다음 달 개선 → 습관 형성
✅ 마무리: 돈이 모이지 않는 게 아니라, 구조가 없을 뿐
사회 초년생의 월급은 적은 게 아니라 분산되어 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.
수입보다 지출이 더 중요한 시기, 구조를 갖춘 사람만이 종잣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.
📌 요약 TIP
- 월급을 ‘받고 나서 생각’하지 말고, 받기 전에 구조화하자
- 통장 3~5개로 나눠 자동이체 설정
- 소비 통제 습관과 월별 목표 설정을 통해 돈의 흐름을 자신이 통제하자
'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태크, 시작이 반이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「9. 체크카드 vs 신용카드, 사회 초년생에게 더 유리한 선택은?」 (3) | 2025.07.02 |
---|---|
「8. 신용점수 관리의 중요성과 방법」 (0) | 2025.07.02 |
「7. 절세를 위한 연말정산 꿀팁」 (0) | 2025.06.28 |
「6. 처음 시작하는 주식 투자 가이드」 (1) | 2025.06.28 |
「5. 사회 초년생을 위한 통장 구조 설계」 (0) | 2025.06.27 |
「4. 1,000만 원 모으면 시작할 수 있는 투자」 (3) | 2025.06.25 |
「3. 재테크 필수 용어 쉽게 정리하기」 (3) | 2025.06.25 |
2. 처음 시작하는 종잣돈 만들기 (1) | 2025.06.24 |